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묻는 ‘실업급여 신청’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자격요건 체크 → 서류 준비 → 고용24 온라인 절차 → 관할 고용센터 방문 → 실업인정까지, 한 번에 끝내세요.






자격요건 빠른 체크

  • 비자발적 이직(권고사직·계약만료 등) 또는 정당한 사유에 의한 자발적 이직
  • 피보험 단위기간 충족: 통상 180일 이상 근로(최근 18개월 등 기준, 개별 사안별 상이)
  • 근로의 의사·능력 보유, 적극적 재취업활동 이행
  • 취업·소득 발생 시 즉시 신고(겸업·단기 알바 포함)

세부 예외·판정은 센터 담당자의 확인이 최종입니다. 애매하면 신청 전 상담을 추천합니다.



준비서류 체크리스트

구분서류명어디서/어떻게
필수신분증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방문 접수 시 원본 지참
필수이직확인서사업주가 전자제출(근로복지공단/고용센터)처리 지연 시 사업장에 제출 독려, 센터 문의
권장통장사본주거래 은행 앱/창구지급 계좌 확인
권장구직등록내역고용24(워크넷) 마이페이지이력서·경력 업데이트 필수
경우별근로계약서/급여명세사내 시스템/메일임금체불·감액 등 다툼 대비
경우별자발적 이직 사유 입증의사소견서, 불이익 입증자료 등정당한 사유 인정 시 필요

TIP. ‘이직확인서’·‘피보험자격상실신고’가 미제출이면 수급 절차가 멈춥니다. 퇴사 즉시 사업장에 요청하고, 처리상황을 고용24에서 확인하세요.



신청 절차 (단계별 가이드)

1) 온라인 사전 준비 (고용24)

  1. 구직등록: 고용24(워크넷)에서 이력·희망직무 등록
  2.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수강(영상·퀴즈 완료)
  3. 알림톡/문자로 방문 예약·안내 확인

2) 고용센터 방문 (수급자격 신청)

  1. 관할 고용센터 방문(신분증·서류 지참)
  2. 수급자격 인정 신청서 제출, 초기 상담
  3. 대기기간(통상 최초 7일)1차 실업인정일 지정

3) 실업인정(1차~N차)

  • 1차: 교육·특강·드림수첩 등 의무활동 이행 후 인정
  • 2~N차: 유형별 구직활동 횟수/범위 충족 후 온라인/대면 인정
  • 4차: 일반수급자는 통상 대면 참석 포함(센터 운영기준)
  • 지급: 각 회차 인정 후 회차별 지급

주의: 실업인정일 당일 00:00~17:00 전송 마감(센터 공지 기준). 지각·누락 시 지급 지연/감액 가능.



신청 타임라인(예시)

주차해야 할 일이행 채널결과
0주퇴사·장부정리, 사업장에 이직확인서 요청사업장/근로복지공단전자제출 대기
1주구직등록, 온라인 수급자격 교육고용24교육 이수
2주관할 고용센터 방문·수급자격 신청관할 센터1차 인정일 부여
3~4주의무활동 수행, 1차 실업인정고용24/센터첫 지급
이후회차별 활동·인정 반복고용24/센터회차별 지급


서울 고용센터 한눈표 (관할·주소·대표전화)

거주지 기준으로 관할을 선택하세요. 주소·번호는 센터 공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센터명관할 자치구주소대표전화
서울고용복지+센터중구·종로구·동대문구서울 중구 삼일대로 363(장교동) 1~4층, 10층02-2004-7301
서울서부고용복지+센터마포구·서대문구·용산구·은평구서울 마포구 마포대로 63-8(도화동)02-2077-6000
서울남부고용복지+센터영등포구·양천구서울 영등포구 선유로 120(양평동1가)02-2639-2300
서울강남고용복지+센터강남구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410 금강타워 3·7~10층02-3468-4794
서울서초고용복지+센터서초구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4302-580-4900
서울동부고용복지+센터송파구·강동구서울 송파구 중대로 135 IT벤처타워 동관 3~5층·17층02-2142-8924
성동광진고용복지+센터성동구·광진구서울 성동구 연무장길 76(성수 AK밸리) 1~2층02-2047-9900
서울북부고용복지+센터노원구·도봉구·중랑구서울 노원구 노해로 450(해청빌딩)02-2171-1700
강북성북고용복지+센터강북구·성북구서울 강북구 도봉로 136(풍양빌딩) 2·3·6·8·10층02-3406-0900
서울강서고용복지+센터강서구서울 강서구 양천로57길 탐라영재관 2~3층02-2063-6700
서울관악고용복지+센터관악구·구로구·금천구·동작구서울 구로구 디지털로34길 27 2~3층02-3282-9200

찾아가기: 각 센터 홈페이지 ‘찾아오시는 길’에서 대중교통·주차 안내 확인 → 현장 혼잡도에 따라 방문 예약 또는 오전 일찍 방문 권장.




자주 묻는 질문(서울 거주자 10문 10답)

Q1. 워크넷 구직등록을 꼭 해야 하나요?

A. 네. 구직신청이 수급자격 신청 전제입니다. 이력·경력·희망직무를 꼼꼼히 채우세요.

Q2. 사전교육은 온라인만으로 충분한가요?

A. 보통 온라인 수급자격 교육으로 인정됩니다. 이수 후 14일 내 방문 접수 권장.

Q3. 꼭 거주지 관할 센터만 가야 하나요?

A. 원칙은 거주지 관할입니다. 장기 체류/이전 등 특수사정은 센터에 사전 문의.

Q4. 1차 실업인정은 온라인 가능한가요?

A.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수급자는 대면(집체/특강) 포함 공지가 일반적이며, 만60세 이상·장애인 등 일부 유형은 온라인 가능 운영이 있습니다.

Q5. 실업인정일에 늦거나 전송을 못하면?

A. 해당 회차 지급 지연·감액 또는 불인정될 수 있습니다. 00:00~17:00 전송 마감 유의.

Q6. 퇴사한 회사가 이직확인서를 안 내줘요.

A. 센터에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하세요. 필요 시 직권조사 등 안내를 받게 됩니다.

Q7. 단기 알바를 하게 되면?

A. 사전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소득·근로시간에 따라 감액/부지급 가능.

Q8. 자발적 퇴사인데 받을 수 있나요?

A. 괴롭힘·임금체불·건강악화 등 정당한 사유 입증 시 가능성이 있습니다(증빙 중요).

Q9. 주소가 서울이지만 타 지역에서 머무는 중입니다.

A. 방문·인정 방식 조정이 필요하면 관할 센터에 사전 상담을 권장합니다.

Q10. 지급액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A. 통상 평균임금의 일정 비율상·하한액 기준이 적용됩니다. 매년 조정 가능하니 최신 고시 확인.



지연·반려 피하는 실전 팁

  • 퇴사 직후 사업장에 ‘피보험자격상실신고 + 이직확인서’ 즉시 요청
  • 교육 이수 → 14일 내 방문 원칙 지키기
  • 실업인정일 전송 마감(00:00~17:00) 알람 설정
  • 구직활동 증빙(지원서, 면접확인, 직업훈련 수강 등) 파일·링크로 보관
  • 주소 변경/취업 사실즉시 신고




마무리

서울은 센터가 자치구별로 나뉘어 있어 관할 확인이 가장 먼저입니다. 위 표로 관할·주소·전화 확인 후, 고용24에서 사전 준비를 마치고 방문 접수하면 절차가 크게 빨라집니다.

함께 보면 좋은 페이지 안내


추천 사이트 안내 : 고용24/HRD-Net 바로가기🔍 · 큐넷(Q-Net) 바로가기🔍

어플 소개 안내 : 고용24 어플 바로가기🔍 · 큐넷(Q-Net) 어플 바로가기🔍